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어깨의 주요 근육(shoulder muscle)/어깨 복합체(shoulder complex)5

오십견(유착성관절낭염) 통증 원인&자가관리 방법 이번 포스팅은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이란?! 오십견, 동결견, 유착성관절낭염 모두 같은 질환입니다. 어깨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이 생겨 통증, 가동성 제한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위에 보이는 좌측 사진은 정상 관절낭, 우측 사진은 유착성 관절낭염 입니다. 이와 같이 초기에 염증이 생기며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을 야간통증을 유발하며 가동제한은 많이 보이지 않습니다. 우선 증상은 3가지의 단계로 나뉘게 되는데 초기 - 동결기 : 통증이 가장 심한 단계로 주로 야간통으 가장 큰 증상입니다. 중기 - 결빙기 : 통증은 점점 떨어지지만 가동성의 제한이 점점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후기 - 해빙기 : 관절 가동성이 점점 회복되는 시기입니다. 위 세가지의 .. 2022. 12. 5.
어깨 관절 병변에 대한 원인&자가 관리 방법 느슨한 적합성에 의해 오목 위팔 관절은 고유의 불안정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오목 위팔 관절의 해부학적 몇몇 특징들은 안정성보다 가동성에 더 적합하도록 구조가 만들어져 있으며 관절 오목의 관절면은 위팔뼈 머리 관절면의 약 1/3만 덮고 있다. 이러한 크기에서의 차이에 의해 위팔뼈 머리의 작은 일부분만이 관절 오목과 접촉하게 된다.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위팔뼈 머리의 세로 지름은 관절 오목의 세로 지름보다 약 1.9배 더 크다. 또한 가로지름은 관절 오목의 가로지름보다 약 2.3배나 더 크며 오목 위팔 관절은 위팔뼈 머리가 관절 오목에 꼭 맞지는 않지만 절구 관절로 설명된다. 오목 위팔 관절의 실제적 구조는 골프공이 작은 동전을 누르고 있는 것과 유사하고 이런 뼈의 적합성은 관절의 안정성을 거의 제공하지 .. 2022. 9. 30.
봉우리 빗장 관절(AC jt.) 손상에 대한 증상 및 자가 관리 방법 봉우리 빗장 관절의 탈구에 관한 내용으로 봉우리 빗장 관절은 경사진 관절의 특성과 큰 전단력을 받을 높은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원래부터 탈구가 쉬운 관절이다. 만약 넘어지면서 어깨의 끝부분이 지면에 부딪혔다고 가정하면 지면 반발력에 의해 안쪽과 아래쪽으로 가해진 힘은 경사진 빗장뼈의 관절면에 고정되어 있던 봉우리를 빗장뼈의 안쪽과 밑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가로 방향의 전단력은 관절의 위 관절 주머니 인대와 아래 관절 주머니 인대에 의해 일차적으로 저항되나 부리 빗장 인대는 가로 방향의 전단력이 특히 심해지는 경우 이차적인 저항을 제공한다. 때로는 어깨뼈에 적용된 힘이 모든 인대의 장력을 초과하면, 인대의 파열로 AC관절의 완전한 탈구를 초래하게 되며 봉우리 빗장 관절과 관련된 인대들에 대한 외상은 불안.. 2022. 9. 30.
어깨 복합체에 관한 설명2 어깨 복합체의 관절은 복장 빗장 관절, 봉우리 빗장 관절, 어깨 가슴 관절이 있다. 어깨뼈의 앞은 가슴의 뒤-가쪽면에 놓이게 되며 어깨 가슴 관절을 형성하고 어깨 가슴 관절은 다른 해부학적 관절들과 다르게 뼈들 사이의 접촉을 말하는 것이다. 어깨 가슴 관절에서의 움직임은 복장 빗장 관절과 봉우리 빗장 관절에서 일어나는 움직임들과 역학적인 관계가 있다. 가슴에 대한 어깨뼈의 위치는 어깨 복합체의 가장 먼 쪽에 위치하며 가장 운동성이 많은 관절인 오목 위팔 관절의 작용을 위한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 어깨의 움직임이란 오목 위팔 관절과 어깨 가슴 관절에서의 결합된 움직임을 의미한다. 어깨 복합체의 관절들은 팔에서 할 수 있는 가동범위를 극대화하기 위해 모두 협력적인 움직임으로 연속된 연결체로써의 기능을 한다... 2022. 9.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