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어깨의 주요 근육(shoulder muscle)/오목위팔관절(glenohumeral joint2

충돌 증후군 & 끼임 증후군에 대한 원인과 자가 관리 우선 어깨 위팔 리듬에 관해서 알아야 왜 이러한 증후군이 나타나는지 어떻게 해야 관리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개념이 생길 것이다. 건강한 어깨의 경우 위팔뼈의 벌림(혹은 굽힘)과 어깨뼈의 위쪽 돌림 사이에는 자연적인 운동 형상학적 리듬 또는 타이밍이 존재한다. 이런 운동 형상학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어깨 위팔 리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약 30도의 벌림(혹은 굽힘) 이후에 이러한 이름은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2:1 비율로 일어난다고 한다. 어깨가 3도 벌림을 할 때마다 2도는 위팔뼈에서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1도는 어깨뼈에서의 위쪽 돌림으로 일어난다. 어깨 벌림의 첫 번째 운동 형상학적 원리는 거의 180도의 완전한 벌림이 120도의 위팔뼈 벌림(혹은 굽힘)과 60도의 어깨뼈 위쪽 돌림이 동시에 나.. 2022. 10. 7.
어깨 관절 불안정성 및 통증에 대한 자가진단&케어 이 전 포스팅에서 어깨 관절 하방 회전 증후군이 오목 위팔 관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포스팅을 했다. 이전 글을 보지 못하신 분은 아래 글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아래의 방법을 하여도 통증이 남아있다면 무엇이 원인인지 어떻게 추가적인 관리를 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자. https://fix-yb.tistory.com/15 어깨 관절 병변에 대한 원인&자가 관리 방법 느슨한 적합성에 의해 오목 위팔 관절은 고유의 불안정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오목 위팔 관절의 해부학적 몇몇 특징들은 안정성보다 가동성에 더 적합하도록 구조가 만들어져 있으며 관절 오 fix-yb.tistory.com 그전에 오목 위팔 관절의 오목 테두리는 왜 손상에 쉽게 노출되는지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오목 테두리의 위쪽 부분은 관절.. 2022. 10. 4.
반응형